전공 소개
직장생활과 학업의 병행이 가능하도록 야간 실시간 화상강의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TESOL∙영어교재개발전공(야간) 프로그램은 대면수업과 동일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탁월한 영어실력, 현장에서의 실무능력과 전공지식을 종합적으로 갖춘 영어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TESOL∙영어교재개발전공 프로그램에서는 유∙초등 및 성인 영어지도, 연구, 인공지능 활용 및 언어평가, 커리큘럼 및 디지털 교재 개발 등을 배울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학생들이 본인의 관심분야에 따라 TESOL 전공과 영어교재개발전공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는 세부 전공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TESOL 전공 교육목표
일선 교육현장에서 영어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및 강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하고, 영어교육과 관련된 제반 분야에서 독자적으로 영향력 있는 연구 및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영어교육 전문가를 육성합니다.
TESOL 전공 학생들은 국제어로서 영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영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집중적으로 연마하고, 현장 지향적인 실습과목을 토대로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 진행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더불어 다양한 연구 주제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프로젝트 및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 능력을 연마합니다.
영어교재개발 전공 교육목표
영어 교재와 디지털 콘텐츠 그리고 영어교육 프로그램 분야에서 이론 및 실제를 겸비한 영어교육 전문가를 육성합니다.
교육과정(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야간)특징
교육과정(야간)
학기 | 연번 | 과목명 | 학점 | 구분 |
---|---|---|---|---|
1. 봄 | 1 | 언어학습과 교수의 원리 | 3 | 공통필수 |
2 | 어린이 영어지도 | 3 | TESOL 전공 | |
3 | AI기반 언어교육 개관 | 3 | 교재개발 전공 | |
4 | Genre Writing | 3 | Language Skills | |
2. 가을 | 5 | 읽기 및 쓰기지도 | 3 | 공통필수 |
6 | 듣기 및 말하기 지도 | 3 | 공통필수 | |
7 | AI 기초 프로그래밍 | 3 | 공통전공 | |
8 | 언어교재개론 | 3 | 교재개발 전공 | |
3. 봄 | 9 | AI 디지털콘텐츠교수법 | 3 | 공통전공 |
10 | 프로세스 드라마 | 3 | TESOL전공 | |
11 | AI 기반 기초 통계 | 3 | 공통전공 | |
12 | ELT 교육과정 디자인 | 3 | 교재개발 전공 | |
13 | 논문/작품 연구 1 | 1 | 공통 전공 | |
4. 가을 | 14 | Language Awareness | 3 | 공통전공 |
15 | 영어지도 실습 | 3 | TESOL 전공 | |
16 | AI 활용 언어평가 | 3 | 교재개발 전공 | |
17 | 논문/작품 연구 2 | 1 | 공통전공 |
※ 개설과목은 학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과목개요
1. 어린이영어지도 [Teaching Young Learners]
Regularly described as both rewarding and challenging, teaching languages to young learners requires a set of skills most people simply do not have. Young learners are still developing socially, emotionally, and cognitively, and may not have chosen to be in the language classroom but they very often bring tremendous energy, goodwill, and curiosity to their studies. This course aims to support teachers as they harness that positivity and channel youthful energies into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n additional language. This practical course will provide both new and experienced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manifest teaching theory in classroom practice, and refresh established routines with new techniques.2. 프로세스 드라마 [Process Drama]
Process Drama is a process-driven educational drama that works without scripts, and i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empath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is unit will show how to play process drama and how to instruct it. Based on this learning experience, students will design their own process drama, and will be instructed by peer teaching with rich feedback from professors and colleagues.3. 영어지도 실습 [Practical Teaching Methodology]
This course will focus on the principles of effective classroom practice i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and give learners hands-on teaching practice in the context of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In addition to looking at the four macro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s course will also examine the teaching of grammar, vocabulary, and phonology so that these activities are situated in teaching episodes in their proper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