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기 | 연번 | 교과목명 | 주당시수 | 학점 |
---|---|---|---|---|
1 | 1 | 번역학 입문 | 2 | 2 |
2 | 통·번역을 위한 한국어·베트남어 숙달 I | 2 | 2 | |
3 | 통·번역을 위한 한국어·베트남어 숙달 I I | 2 | 2 | |
4 | 한국·베트남 역사와 문화의 이해 | 2 | 2 | |
합계 | 8 | 8 | ||
2 | 5 | 전문용어 | 2 | 2 |
6 | 한·베 실용문 번역 | 2 | 2 | |
7 | 한·베 순차통역 | 2 | 2 | |
8 | 베·한 순차통역 | 2 | 2 | |
합계 | 8 | 8 | ||
3 | 9 | 한·베 문학작품 번역I | 2 | 2 |
10 | 한·베 문학작품 번역I | 2 | 2 | |
11 | 한·베 미디어 번역 | 2 | 2 | |
12 | 한·베 정치, 법률 번역 | 2 | 2 | |
합계 | 8 | 8 | ||
4 | 13 | 한·베 산업, 경제 번역 | 2 | 2 |
14 | 한·베 과학기술 번역 | 2 | 2 | |
15 | 한·베 번역실습 | 2 | 1 | |
합계 | 6 | 6 | ||
Total | 30 | 30 |
과목개요
1. 번역학 입문 [Introduction to Translation]
번역 전반에 대한 기본 지식과 기량을 익히는 기초 수업이다. 번역의 기본 이론과 학습 방법 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연습에 적용한다.2. 통·번역을 위한 한국어·베트남어 숙달 [Proficiency in Korean and Vietnamese]
통번역의 대상이 되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능력을 제고하는 수업이다. 다양한 주제, 문체, 장르의 자료를 통해 광범위한 지식, 어휘, 표현 등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로 나누어 익힘으로써 외국어뿐 아니라 모국어 능력을 끌어올리도록 한다.3. 한국·베트남 역사와 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Korean and Vietnamese History & Culture]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 역사, 언어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4. 전문용어 [Terminology for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번역 및 통역에 필요한 전문기술 분야의 기본원리와 용어 및 현안을 다룬다.5. 한·베 실용문 번역 [Translation Practice of Non-Literary Writing]
문학작품을 제외한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를 정확하고 세련되게 번역하는 기법을 숙달시킨다.6. 순차통역 [Consecutive Interpreting]
다양한 주제의 텍스트를 듣고 즉석에서 통역하는 훈련을 통해 출발어에 대한 청취력 및 분석력과 도착어에 대한 높은 수준의 표현력(어휘, 문법, 문체, 문화 등에 부합)을 기른다. 또한, 암기 연습과 함께 내용 기억을 돕기 위한 노트테이킹 연습을 실시하며, 통역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발표력을 함양한다.7. 문학작품 번역 [Literary Writings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들을 정확하고 문학적으로 번역하는 기법을 훈련한다.8. 한ㆍ베 미디어 번역 [Media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신문, 잡지, 인터넷 홈페이지 등의 문어 매체물과 영화, TV, Radio 등의 음영 매체물을 정확하고 세련된 문장으로 표현하는 기법을 익힌다.9. 한ㆍ베 정치, 법률 번역 [Politics and Law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국제 정세, 협력, 정부구조, 국제외교 등과 관련된 현안문제 중심의 정치적 텍스트와 함께 사문서, 계약서, 조약, 법조문 등 일상적인 번역수요가 있는 법률 텍스트의 번역을 경험함으로써 텍스트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문체 및 문서구조 등에 익숙해진다.10. 한·베 산업, 경제 번역 [Industry and Economy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세계 경제 및 국제 금융, 통상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의 각종 공식 서신, 계약서 등을 포함한 다양한 텍스트를 번역한다. 학생들은 분야별 주제를 연구하고 전문용어를 구축하여 정확하고 논리적인 번역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11. 한·베 과학기술 번역 [Science and Technology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과학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어휘, 문체, 구문 등을 심층 연구함으로써 이들 분야에서 쓰이는 글에 익숙해지고 나아가 이들 분야의 한국어 텍스트를 정확하고 매끄러운 영문으로 바꾸는 능력을 함양한다.12. 한·베 번역실습 [Practicum in Translation]
다양하고 전문적인 분야의 텍스트로 실시하는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번역 훈련 및 피드백을 통해 번역 능력을 강화하며, 실제 번역 업무를 체험해 보도록 한다.